미소녀는 수육受肉하지 않는다, 인터랙티브 리얼타임 시뮬레이션, 싱글 플레이
Bishoujo does not incarnate, Interactive Real-time Simulation, Single-play


<미소녀는 수육受肉하지 않는다>는 3D 미소녀 모델링을 입고서 활동하는 VR 챗 커뮤니티 문화에서 미소녀 도상의 역사성과 모델링을 통한 재현이 어떻게 개입하는지 탐색한다. 게임 엔진과 CGI에서 3D 모델링은 그 텅 빈 내부를 숨기고 외부를 보여주도록 제작된다. VR 챗 커뮤니티에서 미소녀 모델링은 섹슈얼리티와 젠더, 우정의 표현이 전달되는 통로로서 기능한다. 만화 속 미소녀의 도식은 탈착할 수 있는 몸이란 꿈을 자주 표현한다. VR 챗 커뮤니티의 3D 미소녀 모델링은 친밀한 관계를 매개할 수 있는 사회적인 얼굴이라는 점에서 특별하다. “실제” 신체는 흔히 텅 빈 모델링내부에 자리한 걸로 상상되곤 하는데, “외부”의 신체란 이 내부를 우회하기 위한 전략인 것이다. 해당 작품은 3D 통로이자 우회로로서 기능하던 미소녀들만이 점점이 흩어진 온라인 폐허를 관객에게 누비도록 만든다. 미소녀의 무게 없는 신체 기관들을 유비하는 인터페이스와 상호 작용하며, 가능했을지도 모를 우정과 대안적 역할 놀이의 흔적을 추체험한다. 
"Bishoujo does not incarnate" explores how the body representation of 3D modeling-based Bishoujo avatars embodies a gendered fantasy about social intimacy and a removable body. This interactive real-time simulation follows the story of the Bishoujo character TEE in a desolate VR chat world abandoned by its users, letting the players interact with the physical interface corresponding with Bishoujo’s weightless organs. This project adopts the point-and-click and rhythm game to give itself a retrospective and subcultural atmosphere. In-game conversations between TEE and its identical twins revolve around the materiality of 3D modeling and the historicity of the Bishoujo icon. ‘Wearing’ 3D bishoujo model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self-expressions in the VR chat community, where community members have cultivated subcultural body expressions using diverse technical practices. Bishoujo's character serves as a ‘cute’ detour that temporarily allows its users to wriggle out of the oppressive gender roles and explore alternative self-images. Moreover, it functions as a social facial mask, a baby schema strategically encouraging to mediate intimate relationships and friendships that were supposed to be unavailable in the ‘real’ world and ‘real’ body. This project focuses on the irony of this virtual body, sometimes described as ‘ideal’ alternatives. 3D modeling created for its sole external presentation in the game engine usually conceals its inner empty spaces, which display itself only when a bug occurs. TEE’s journey through virtual ruins develops a metaphoric link between the external, wearable, cute surface and the inner concealed vacuum where ‘The real’ resides. By addressing the 3D modeling’s inside voidness visually and interactively, this project leads the players to reenact the vestige of intimate role-playing and contemplate the inverted wish for the removable flesh.
작가: 교각들
이야기: 성훈
게임 디자인: 교각들
프로그래밍: 상희
사운드: 기나이직
사운드 협력: 온데아
사운드 디자인: 교각들, 기나이직
타이틀 디자인: 김지연
캐릭터 디자인: 교각들
캐릭터 원화: 신하영
캐릭터 모델링 / 리깅: 장현욱
기술 지원: loudcube, 안재영
촬영: 김사라, 이용신, 상희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장미현, 최재희, 신지유
Back to Top